세계 각국이 경기 부양을 위해 실시한 양적완화의 여파로 런던·홍콩 등 대도시를 중심으로 주택 가격이 치솟고 있다.
올해 1분기 전 세계 주택 가격은 금융위기 직전 수준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국제통화기금(IMF)의 글로벌 주택가격 지수에 따르면 2000년 당시 전 세계 주택 가격을 100으로 잡았을 때 올해 1분기 지수는 151.31로 금융위기 이전인 2006년 4분기의 149.29를 넘어섰다.
IMF가 집계한 지수에 따르면 전 세계 주택 가격은 2008년 1분기 159.88로 정점을 찍고 2012년 1분기까지 하향세를 그리다가 다시 반등하고 있다.
게다가 상당수의 국가에서는 주택 가격이 소득 상승분보다 빠르게 오르고 있다고 IMF는 밝혔다.
임금·물가 상승 수준을 고려하더라도 집값이 상대적으로 비싸지고 있다는 것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명목 가처분 소득 대비 주택 가격 지수' 통계를 보더라도 OECD 회원국의 주택 가격은 2012년 4분기 95.21(2010년 100 기준)까지 떨어졌다가 반등해 올 2분기에는 101.11 선까지 올랐다.
가처분 소득은 한 가계의 수입 가운데 개인소득세나 이자비용 등을 제외한 것을 말한다.
2007년 2분기 111.56(2010년 100 기준)으로 정점을 찍었던 수준에는 이르지 못했지만 3년 새 6.2%의 상승률을 보이며 꾸준히 오른 것이다.
국가별로는 홍콩과 스웨덴, 노르웨이 등이 금융위기 직전 대비 현재 주택 가격이 많이 뛴 곳으로 나타났다.
국제결제은행(BIS)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26개국 가운데 2006년 4분기 주택지수 대비 올 2분기의 증감률이 가장 큰 곳은 홍콩으로 약 9년 만에 무려 220.6% 증가했다.
같은 기간 스웨덴은 64.2%, 노르웨이는 57.2% 주택 가격이 상승했다.
부동산으로 자금이 대거 몰렸던 중국은 40.1%, 최근 연일 최고가를 경신하는 영국은 26.0%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하지만 이 기간에 미국의 주택 가격은 7.7% 떨어졌고 올해 초 디폴트 위기에 내몰렸던 그리스도 38.5% 하락해 26개국 가운데 최하위였다.
한국의 경우 월간 지수를 분기로 환산하면 2006년 4분기 주택 가격 지수가 83.4(2013년 100 기준)에서 올해 2분기 104.4로 25.1% 증가했다.
(Yonhap)
26개국 가운데 10번째에 꼽히는 상승률이다.
한국의 주택 가격은 2008년 금융위기의 여파에도 계속 오르다가 2012∼2013년 소폭 하락했고, 다시 상승곡선을 그리고 있다.
한국 부동산 시장은 대체로 해외 요인보다는 국내 요인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한국 주택 가격은 금융위기 시기에 정부의 각종 부동산 규제 완화와 재개발 열풍으로 상승하다가 몇 년 뒤 '하우스푸어' 급증 사태와 맞물려 하락한 것으로 풀이된다.
박원갑 국민은행 부동산 수석 전문위원은 세계의 주택 가격 추세와 한국의 가격 추세가 다른 이유를 두고 "대체로 미국이 선행하고 한국이 후행하는 경향이 있다"며 2012년께는 정부·공공기관 지방 이전으로 인한 수요 공백도 작용했다고 설명했다.
주택 가격의 상승세는 올해 들어 더 극심해졌다.
부동산 컨설팅 업체 나이트 프랭크는 56개국의 지난해 2분기 대비 올 2분기 집값 상승률을 비교했을 때 한국은 3.4% 상승해 56개국 가운데 28위를 차지했다고 밝혔다.
세계 각국과 비교하면 아직 중위권이지만 지난해 4분기에는 1년 새 2.1%(32위), 바로 전 분기에는 상승률이 2.3%(32위)를 보인 것과 비교하면 최근 들어 상승세가 가팔라진 것을 알 수 있다.
낮은 금리에 따른 월세 비율 확대와 깡통전세에 대한 불안으로 주택 매매에 대한 수요가 늘어난 것이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박 수석전문위원은 "현재 한국에서는 전세가 소멸되고 월세로 대체되는 현상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전 세계적으로 부동산 가격이 상승한 것은 금융위기 이후 세계 각국이 경기를 부양하고 저(低)인플레이션 현상을 완화하기 위해 대대적으로 양적 완화를 단행했기 때문이라고 외신들은 분석했다.
리먼브라더스 파산 후에 각국이 단행한 기준금리 인하 횟수는 600차례에 달한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는 제로(0) 금리를 유지하고 있으며 유럽 각국은 마이너스 금리를 도입하기도 했다.
대도시를 중심으로 버블이 우려될 정도로 집값이 오르면서 이제 주택 가격이 정점에 올랐다는 분석도 나온다.
나이트 프랭크는 2015 2분기 글로벌 주택 가격 지수 보고서를 통해 "최근 미국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 유로존(유로화 사용 국가) 경제에 대한 회의적인 전망 등이 겹쳐지면서 4년 만에 처음으로 주택 지수가 0.1% 상승하는 데 그쳤다"고 설명했다. (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