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om
Send to

[기고문] 고교, 수평적 다양화로 수직적 차별을 극복하자

July 20, 2015 - 15:33 By 윤민식

대학진학을 우선으로 하는 진학계 고교는 다수의 일반고 위에 소수의 특목고나 자율고를 올려두고 있다. 더구나 1800여 개교 대부분이 문이과식으로만 공부시키고, 대수능도 이를 부채질하고 있다. 이런 획일적인 교육과정은 결과적으로 국영수 편중 학습을 낳고, 중학교 공부를 반복․심화하는 수준에 머물게 하며, 획일적인 잣대로 학생들을 줄세운다. 교육선진국들이 고교에서는 진로별로 다양한 선택을 할 수 있는 학습기회를 제공하는 것과 대조된다. 우리나라에서 문이과를 벗어나 다양한 학습기회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다양화한 학교는 30여개에 불과하다. 이들 학교는 다른 학교들보다 높은 교육성과와 학교만족도를 낳고 있지만, 주변 학교와 협력적이지 못하고 고립되어 시기를 낳을 뿐이다. 상호 시너지효과를 내는 쪽으로 변화가 필요하다.

평준화는 이질집단을 한 데 모아둘 뿐 교육의 질을 향상시킬 대책이 없고, 비평준화는 다양성을 왜곡해 학교간 우열을 만든다는 점에서 고교 발전 방향이 못된다. 현재 교육부의 고교 교육력 제고 사업이나 일부 교육청의 혁신학교 등도 비전은 없고 맹목적 열정만 있다. 고교 개혁은 고교생들이 졸업 후 대학의 다양한 전공으로 진학한다는 점과 진학 후에도 성공적 ․계속적으로 공부할 수 있도록 준비시켜 주어야 한다는 점에서 출발한다. 위계적 우열과 등급만 갈라주어 학생의 잠재력과 창의성을 소진시키는 제도를 버리고, 다양한 진로에 맞게 알맞은 학습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수평적 다양화 쪽으로 나아가야 한다. 차이는 차별은 다르다. 차이를 갖되 차별이 되지 않는 진로별 수평적 다양화가 문제해결의 핵심이다. 학교간에 그리고 학교내에서 진로별로 다양한 학습기회를 제공하면, 평준화․비평준화의 무익한 갈등을 극복할 수 있고, 일반고도 나름의 특색을 가질 수 있게 될 것이며, 무엇보다 학생들이 하고 싶은 공부를 할 수 있어 학교다니는 맛이 날 것이다.

진로별로 다양한 교육과정을 제공할 수 있는 방안으로 다음 몇 가지 일이 중요하다. 첫째, 고교 교육과정을 문이과보다 진로별 다양화를 보장하는 방향으로 개정해야 한다. 교육과정 개정 때마다 항상 1학년 수준 공통필수 교과목 단위수 증감에만 집착하는데, 학년이 높아질수록 ‘전체 공통→계열 공통→진로별 과정’의 다양화 쪽으로, 졸업하면서 어디로 향하게 할 것인가의 쪽으로 개정해야 한다. 즉 1학년의 전체 공통을 기초로, 2학년에서는 문과, 이과, 예술, 체육의 4대 계열을 나눠주고, 3학년에서는 문과는 인문, 사회, 경상, 국제로, 이과는 자연, 공학, IT, 보건의료 등으로, 예술은 미술다자인, 음악, 연극영화, 문화콘텐츠, 체육은 개인운동, 단체운동, 스포츠산업 등으로 다양한 진로탐색과정으로 더 많은 선택지를 준다. 이것은 3년간 학생들을 하나의 진로에 묶어두지 않는다. 학년이 올라가면서 점차 좁혀가되, 진로별로 선택과 집중하여 차이나는 학습 분량은 한 학기 정도이다. 따라서 학생들은 최대 3개까지 변경가능한 진로 준비를 융통성있게 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교실수, 교사수 등이 제한된 개별 학교로서는 수평적 다양화가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교육부나 교육청에서는 다양한 과정을 고루 개설하기 위해서 지역내 학교간에 역할분담과 협력을 하도록 학교간 협력체제를 적극 만들어야 한다. 제로섬 게임의 대입시를 둘러싼 학교간 무익한 경쟁이 아니라, 어떻게 하면 학생들에게 진로별로 다양한 학습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가에 교육정책의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셋째, 교과서 구성이나 교사의 수업 등을 진로별로 다양하게 특성화해주어야 한다. 다같은 영어라도 국제계로 진학하려는 학생과 축구선수로 나아갈 학생이 배우는 영어 수업과 교과서가 달라야 모두 성공할 수 있다. 끝으로 진로별로 타당한 대입시를 만들어야 한다. 프랑스의 바깔로레아는 2백년이 넘도록 건재한데, 핵심은 진로별로 타당한 입시이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입시는 타당성이 없어 늘 불안정하고 자주 바뀔 수밖에 없다. 진로별로 꼭 필요한 바탕학습이 잘 되어 있는가를 확인하는 입시여야 한다. 즉 공학, 경상, 보건의료 등 진로별로 수학 시험은 서로 달라야 타당한 시험이 된다.

고교 졸업 후 다양한 대학 전공이나 계열로 진학한다는 점에서 학교는 진로별 학습을 잘 챙겨주는 곳이어야 한다. 1800여개의 학교가 하나일 필요는 없다. 각 학교는 특색이 있고, 여러 학교가 모이면 다양해야 한다. 우리나라 고교가 지금의 질곡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평준화․비평준화 갈등, 문이과 양분, 국영수 편중, 타당성없는 대입시를 벗어나, 하루 바삐 진로별로 다양한 교육과정과 타당한 대입시를 정립해야 할 것이다.


홍후조(고려대 교육학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