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om
Send to

김범수, 이재웅 인터넷 세상에서 또한번 모험에 나서

May 26, 2014 - 12:46 By 신용배

이재웅 다음 창업주와 김범수 카카오 의장이 또 한번 모험에 나섰다. 다음과 카카오를 합병해 국내에서는 네어버를, 아시아 시장에서는 라인, 위챗과 단숨에 어깨를 나란히 하겠다는 전략이다. 이를 위해 다음 창업주이며 최대주주인 이재웅 전 대표는 경영권을, 김 의장은 회사 이름 순서를 양보했다.

카카오톡을 품에 안은 새 회사 ‘다음카카오’의 최대주주는 김범수 카카오 의장이다. 김 의장의 지분은 합병 후에도 약 30%선을 유지한다. 반면 카카오를 합병한 다음 이재웅 창업주의 지분은 5~6%대로 내려간다. 이 창업주 입장에서는 1995년 창업해 한메일로 한 때 대한민국 대표 포털 자리에 우뚝 섰던 정든 회사를 창업 7년이 채 안된 신생 벤처 기업에게 내주는 셈이다.

이 전 대표의 이런 결단에는 20살 다음에게 새로운 생명력이 절실하다는 위기감이 깔려있다. 대한민국 대표 이메일이던 한메일의 영광과 함께 인터넷을 호령했던 다음은 어느 덧 그 자리를 후발주자 네이버에 내주고 말았다. 모바일 인터넷 시대 개막과 함께 마이피플이라는 메신저 앱으로 부활을 노렸지만, 결과는 좋지 못했다.

그 사이 네이버는 더 달아났고, 구글 같은 외국 업체의 공습도 점차 거세져 갔다. 매출은 수년 째 4000~5000억원에서 정체됐다. 만년 2인자 자리에 안주하고 싶지 않았던 이 창업주는 다음에게 새 날개를 달아줘야 했고, 모바일 인터넷 시대 국민 메신저를 넘어 국민 플랫폼으로 자리잡은 카카오톡은 가장 적합한 상대였다.

김범수 카카오 의장에게도 다음은 카카오의 더 큰 도약을 위한 필수 선택이다. 카카오는 스마트폰 보급과 함께 도래한 모바일 인터넷 시대에 발빠르게 대응, 네이트온이나 MSN메신저 등을 제치고 카카오톡을 단숨에 국민 메신저로 만들었다.

김범수 카카오 의장


하지만 대한민국을 넘어 동남아, 그리고 글로벌 시장까지 내다본 김 의장에게도 지금의 카카오만으로는 한계가 있었다. 글로벌 마케팅에 필요한 자금이야 상장을 통해 해결할 수도 있었지만, 메신저에 담을 콘텐츠는 돈으로도 살 수 없었다. 여기에 네이버를 기반으로 일본에서 시작, 이제는 아시아를 주름잡고 있는 라인의 성공은 김 의장에게 결단을 제촉했다. 글로벌 카톡을 꿈꾸는 그에게 ‘다음-카카오’라는 이름의 순서는 걸림돌이 되지 못했다.

이재웅, 김범수 두 벤처 신화의 눈은 이제 국내를 넘어 아시아 시장을 향하고 있다. 4조원이 넘을 새 다음의 시가총액을 떠 받칠 실적은 5000억원의 다음 매출과 2000억원의 카카오 매출의 합계 이상이 되야 한다. 이 창업주를 대신해 다음을 이끌고 있는 최세훈 대표는 “양사는 서로가 부족한 점을 각자의 강점으로 가지고 있다”며 글로벌 시장에서 두 회사가 보여줄 시너지를 기대했다. 김범수 의장과 손발을 맞춰온 이석우 카카오 대표 역시 “양사의 핵심 경쟁력을 통합해 빠르게 변화하는 글로벌 시장에 대응하기 위한 강력한 추진력을 확보하게 됐다”며 “통합법인은 모바일을 비롯 IT 전 영역을 아우르는 커뮤니케이션, 정보, 생활 플랫폼 사업자로 성장해 나갈 것”이라고 새 회사의 청사진을 그렸다. 대한민국, 그리고 20억 아시아 사람들이 카카오톡으로 다음의 콘텐츠를 함께 즐기는 모습이 이재웅, 김범수 두 벤처 신화의 머릿속에는 더 이상 꿈이 아니다. (onlinenews@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