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om
Send to

Crisis-torn EU wins 2012 Nobel Peace Prize

Oct. 12, 2012 - 18:04 By 박한나

A photo taken on March 22, 2006 shows European flags at the EU headquarters in Brussels . The crisis-torn European Union will win this year's Nobel Peace Prize, the usually well-informed Norwegian public broadcaster NRK reported an hour before the widely anticipated announcement on October 12, 2012. (AFP-Yonhap News)



The European Union won the Nobel Peace Prize on Friday for its efforts to promote peace and democracy in Europe _ despite being in the midst of its biggest crisis since the bloc was created in the 1950s.

The Norwegian prize committee said the EU received the award for six decades of contributions “to the advancement of peace and reconciliation, democracy and human rights in Europe.

“The stabilizing part played by the European Union has helped to transform a once torn Europe from a continent of war to a continent of peace,” Nobel committee chairman Thorbjoern Jagland said.

The EU rose from the ashes of World War II, born of the conviction that ever-closer economic ties would make sure that century-old enemies never turned on each other again. It's now made up of 500 million people in 27 nations, with other nations lined up, waiting to join.

The idea of a united Europe began to take on a more defined shape when, on May 9, 1950, French Foreign Minister Robert Schuman proposed that France and the Federal Republic of Germany pool their coal and steel resources in a new organization that other European countries could join.

“Today war between Germany and France is unthinkable. This shows how, through well-aimed efforts and by building up mutual confidence, historical enemies can become close partners,” the committee said.

The citation also noted the democratic conditions the EU has demanded of all those nations waiting to join, referred to Greece and Spain when they joined the 1980, and to the countries in Eastern Europe who sought EU membership after the 1989 fall of the Berlin Wall.

The prize focused on the EU's historical role as a builder of peace at a time when the union's existence is under challenge from the financial crisis that has stirred deep tensions between north and south and when there are questions about the form in which the EU will survive. 

“The EU is currently undergoing grave economic difficulties and considerable social unrest,” Jagland said. “The Norwegian Nobel Committee wishes to focus on what it sees as the EU's most important result: the successful struggle for peace and reconciliation and for democracy and human rights.
“The stabilizing part played by the EU has helped to transform most of Europe from a continent of war to a continent of peace.”

It was not yet clear who would accept the prize for the EU. (AP)





<한글 기사>

EU, 2012 노벨 평화상 수상

"세계대전 이후 유럽 화합에 기여한 공로"

재정위기•사회불안 속 수상 논란

27개 회원국을 둔 유럽연합(EU)이 올해 노벨평 화상을 수상했다. 

노르웨이 노벨위원회는 12일 "지난 60여년 간 EU와 이 지역 선구자들이 유럽의 평화와 화합, 민주주의, 인권 증진을 위해 기여한 바가 크다"고 선정 이유를 밝혔다. 

개인이 아닌 기구나 단체가 노벨평화상을 받은 건 2007년(유엔 정부간기후변화위원회•IPCC) 이후 처음이다.

토르뵤른 야글란 노벨위원회 위원장은 "EU의 안정화 노력이 전쟁의 대륙이었던 유럽을 평화의 대륙으로 바꾸는 데 일조했다"며 "과거 독일과 프랑스는 여러 차례 전쟁을 벌였지만 오늘날 두 나라의 전쟁은 상상할 수도 없다"고 말했다.

100년이 넘는 노벨평화상 역사에서 유럽의 평화와 안정을 위해 노력한 공로로 수상한 사람들도 많았다. 그만큼 유럽이 세계 1,2차 대전을 겪으면서 어느 대륙보다 도 대립과 혼란이 극심했다는 방증이다. 

헤르만 반 롬푀이 EU 정상회의 상임의장은 "역사상 가장 큰 중재자(peacemaker) 로서 EU의 역할을 인정받았다"며 기쁨을 감추지 못했다. 

핀란드 헬싱키를 방문한 도중 수상소식을 접한 반 롬푀이 의장은 기자들에게 "2 0세기 유럽은 큰 전쟁을 겪었고 EU 덕분에 평화를 확고히 할 수 있었다"면서 "평화를 위한 EU의 노력이 보상받은 것 같아 매우 자랑스럽다"고 말했다. 

유럽의회 마르틴 슐츠 의장도 트위터에 올린 성명에서 "세계 2차대전이 끝난 뒤 EU가 추진해 온 화합의 노력이 인정받은 것"이라며 "매우 감동적이고 영광스럽다"고 환영했다. 

슐츠 의장은 "EU가 바로 화합이다. 영감을 주는 역할을 한다"며 "EU는 전쟁을 평화로, 증오를 연대로 바꾼 유일무이한 프로젝트"라고 덧붙였다.

하지만 EU가 재정위기와 이에 따른 사회불안이 커지고 있음을 고려하면 이번 수 상이 논란거리가 될 전망이다. 

시상식은 오는 12월10일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열린다.

EU는 상금으로 800만크로네(약 13억여원)를 받게 된다. 노벨상 상금은 2001년 이후 지난해까지 1천만 크로네(약 17억원)였으나 올해는 금융위기 등의 여파로 액수 가 줄었다. 

지난해에는 엘런 존슨 설리프 라이베리아 대통령과 같은 나라의 평화운동가 리머 보위, 예멘의 여성운동가 타우왁쿨 카르만 등 여성 3인방이 평화상을 공동수상했다.





역대 노벨평화상 수상자 명단


    ▲2012년: 유럽연합(EU)
    ▲2011년: 엘런 존슨 설리프, 리머 보위(이상 라이베리아), 타우왁쿨 카르만(예
멘)
    ▲2010년: 류샤오보(중국)
    ▲2009년: 버락 오바마(미국)
    ▲2008년: 마르티 아티사리(핀란드)
    ▲2007년: 유엔 정부간 기후변화위원회(IPCC), 앨 고어(미국)
    ▲2006년: 그라민은행, 무하마드 유누스(방글라데시)
    ▲2005년: 국제원자력기구(IAEA), 모하메드 엘바라데이 IAEA 사무총장
    ▲2004년: 왕가리 마타이(케냐)
    ▲2003년: 시린 에바디(이란)
    ▲2002년: 지미 카터(미국)
    ▲2001년: 유엔, 코피 아난 사무총장
    ▲2000년: 김대중(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