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우리나라의 1인당 국민총소득(GNI)이 2만7천 달러대로 떨어졌다.
이로써 1인당 국민소득 3만달러 달성은 또다시 무산됐다.
작년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2.6%로 집계됐다.
한국은행이 25일 발표한 '2014년 국민계정(확정) 및 2015년 국민계정(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1인당 GNI는 2만7천340달러(3천93만5천원)로 전년(2만8천71달러)보다 2.6%(731달러) 줄었다.
달러 기준으로 1인당 GNI가 전년보다 감소하기는 2009년 이후 6년 만이다.
1인당 GNI는 2006년 2만823달러로 2만달러를 돌파하고 나서 9년 동안 3만 달러에 안착하지 못하고 있다.
글로벌 금융위기가 있었던 2009년 1만8천303달러로 떨어졌다가 2010년 2만2천170달러, 2011년 2만4천302달러, 2012년 2만4천696달러, 2013년 2만6천179달러 등으로 꾸준히 증가해오다 지난해 뒷걸음질한 것이다.
그러나 원화 기준으로 1인당 GNI는 2014년 2천956만5천원에서 4.6%(137만원) 늘었다.
작년 연평균 원/달러 환율이 7.4% 상승하면서 원화가 약세를 보인 영향이 컸다.
(연합)
1인당 가계총처분가능소득(PGDI)은 1만5천524달러로 2014년 1만5천922달러보다 감소했다.
PGDI는 국민이 자유롭게 처분할 수 있는 소득으로 실질적인 주머니 사정과 밀접한 지표다.
다만, 1인당 PGDI도 원화로 계산하면 1천756만5천원으로 2014년 1천676만9천원보다 늘었다.
지난해 실질 GNI는 6.5% 증가했다.
실질 GNI는 물가 등을 고려한 국민소득의 실질 구매력을 나타내는 지표다.
작년 실질 GDP 성장률은 2.6%로 실질 GNI 증가율을 크게 밑돌았다.
작년 GDP 성장률 2.6%는 2014년 3.3%보다 0.7% 포인트 떨어졌고 2012년 2.3% 이후 3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전분기 대비 실질 성장률은 작년 1분기 0.8%에서 2분기 0.4%로 떨어졌다가 3분기에는 1.2%로 크게 올랐고 4분기에는 0.7%를 기록했다.
명목 GDP는 1천558조6천억원으로 2014년보다 4.9% 늘었다.
연간 GDP 증가율(실질 기준)을 산업별로 보면 제조업은 1.3%에 그쳐 전년(3.5%)보다 크게 축소됐다.
건설업은 2014년 0.8%에서 지난해 3.0%로 성장세가 확대됐고 서비스업은 같은 기간 3.3%에서 2.8%로 축소됐다.
지난해 민간소비는 2.2% 늘어 전년(1.7%) 보다 증가율이 높아졌다. 그러나 재화와 서비스의 수출은 증가율에 2014년 2.0%에서 지난해 0.8%로 크게 낮아졌다.
지난해 총저축률은 35.4%로 전년보다 0.9% 포인트 상승했다. 국내 총투자율은 28.5%로 2014년(29.3%)보다 0.8% 포인트 낮아졌다.
가계의 순 저축률은 7.7%로 2014년보다 1.4% 포인트 올랐다.
국민소득에서 노동소득(임금)이 차지하는 비중을 가리키는 노동소득분배율은 62.9%로 1년 전보다 0.1% 포인트 올랐다.
가장 포괄적인 물가수준을 보여주는 GDP 디플레이터(명목GDP/실질GDP·2010=100)는 2014년보다 2.2% 상승했다. (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