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gay man who avoided military service became the first South Korean to be granted asylum abroad on grounds of conscientious objection in 2009, a military human rights group belatedly announced on Thursday.
According to the group, Canadian immigration officials granted asylum to Kim Kyung-hwan in 2009 on grounds that his religious faith and sexual orientation could lead to persecution during his conscription.
The announcement by the Center for Military Human Rights and the approval by the Immigration and Refugee Board of Canada have caused a stir as some believe it may spur similar cases.
This is the first time a draft dodger has become a refugee in another country. Many who reject their service due to religious and ideological reasons end up serving time in prison.
“The situation of Korean conscripts in general and, more specifically, on gay conscripts are very relevant and troubling,” said the ruling by the IRB.
“There is serious possibility that the claimant be persecuted if he were to return to his country, since he was drafted and would have to do his military service,” it said.
The ruling showed that Kim’s counsel had called upon a “specialist on Korean history and society” with “strong credentials” who quoted statistics of violence in the Korean military.
“The statistics are troubling; 30 to 40 percent of Korean conscripts are victims of physical punishment. Moreover, around 60 percent of all cases of deaths in the South Korean army are suicides,” said the ruling.
“If a homosexual is discharged because of his sexual orientation, he has no chance to obtain any decent employment, to continue studies or to enter public life.”
According to the group Kim was a student at a prestigious private university here, but when he was called upon to serve his military service he fled to Canada in June 2006 where he applied for refugee status.
“Since I was little, I couldn’t sympathize with the military and war at all,” Kim said.
“I have no regrets (about leaving South Korea) as I had great worries about possible human rights abuses I could have suffered as a homosexual.”
According to the Ministry of Defense and the Military Manpower Administration sources, they are looking into Kim’s case and began an inspection of homosexuals in the military.
According to military criminal law, any act of homosexuality may result in imprisonment of up to two years.
“Having homosexual dispositions is not grounds for punishment,” said a ministry official, on the condition of anonymity.
In 2005, another gay Korean man had filed for refugee status in Canada on grounds that he would face discrimination here and could not fulfill his compulsory service because of his religious and political beliefs.
The man was not granted asylum for lack of evidence that he would be persecuted here.
However conscientious objections are seen as part of a larger social issue of people attempting to dodge military service.
According to the MMA, 176 people were caught attempting to dodge military service from 2005 to 2009.
Of the total, 96 people were caught having had their shoulders dislocated intentionally. Seventy-five people, who have learned skills to intentionally raise their blood pressure by pressing certain parts of their bodies, were caught pretending to be suffering from hypertension.
By Robert Lee (robert@heraldcorp.com)
<한글기사>
동성애 병역거부자 첫 캐나다 망명
동성애자들이 병역 거부 등을 이유로 해외 망명을 잇달아 신청하고 있다. 이미 지난 2009년 7월 캐나다 이민ㆍ난민심사위원회(IRB)에 동성애 성적 지향을 이유로 병역을 거부한 김경환(30) 씨가 난민지위 신청을 해 캐나다로 망명을 한 것으로 확인됐다.
김 씨는 동성애자가 병역 거부 등을 이유로 해외 망명을 신청해 허가받은 첫 사례다.
캐나다 이민ㆍ난민심사위원회(IRB)는 김 씨의 난민지위 신청에 대해 지난 2009년 7월 “신청인이 고국으로 돌아가면 징집돼 군복무를 해야 하기 때문에 학대를 당할 가능성이 심각하다”고 판결했다.
여기에 호주, 독일 등지로도 비슷한 이유로 A 씨와 B 씨가 망명 신청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2004년 동성애 차별을 이유로 병역을 거부해 국제앰네스티에 의해 양심수로 선정된 적이 있는 임태훈 군인권센터 소장은 15일 헤럴드경제와의 전화 통화에서 “독일과 호주에서도 동성애와 병역문제와 관련돼 현재 한국인이 심사를 받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 60년간 국내에서 종교적 신념이나 개인적 양심을 이유로 병역을 거부해 처벌받은 경우는 모두 1만5000여명에 달한다.
지난 2010년 말 현재 이런 이유로 수감돼 있는 병역 거부자는 모두 965명이다.
문제는 부쩍 늘어나고 있는 국내 동성애자들이 병역 거부 등을 이유로 대거 해외로 망명을 신청할 수 있다는 부분이다.
이렇게 망명이 늘어나면서 국내외적으로 성적 지향과 종교적 이유 등으로 병역을 거부하는 소수자에 대한 처벌 문제가 논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우리나라 병역법은 종교적 신념이나 개인적 양심에 따른 양심적 병역 거부나 대체복무를 인정하지 않고 있다. 한때 적극적으로 논의가 됐던 대체복무제도 지난 2008년 12월 국방부의 무기한 연기 발표 후 논의가 중단된 바 있다.
군(軍) 형법에서는 군대 내 동성애 행위를 처벌할 수 있는 조항을 유지하고 있기도 하다.
판례 역시 성적 지향이 다르거나 종교적 이유로 병역을 거부한 이들에게 불리하게 나온 바 있다. 헌법재판소는 지난 2004년에 이어 지난 8월에도 양심적 병역거부를 인정하지 않는 병역법에 대해 ‘합헌’ 결정을 내린 바 있다.
대법원은 지난 10월 양심적 병역거부를 형사처벌 대상으로 인정하기도 했다. 헌법재판소는 지난 3월 군 형법의 동성애 처벌 조항에 대해서도 합헌 결정했다.
한편 유엔 자유권규약위원회와 유엔 인권이사회가 병역거부에 따른 징역형은 국제 인권규약 위반으로서 한국 정부가 보상 등 효과적 구제 조처를 하라고 작년과 올해 잇따라 권고했으나 실효를 보지 못하고 있다.
다만 오는 2012년 5월 제네바 유엔 인권이사회에서 동성애, 양심적 병역거부 등으로 인한 망명 신청문제가 도마위에 오를 것으로 전망된다.
국가별인권상황정기검토(URP)에는 대한민국의 전반적인 인권상황이 보고될 예정이다.
임 소장은 “이번 건은 국가 신인도에 관한 문제다. 정부가 이를 민감하게 받아들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해 외교통상부 관계자는 “외교 문제로 비화될 가능성은 없을 것으로 본다”면서 “반정부활동을 하다 망명한 것이 아니고 개인의 신념 때문에 망명을 했기 때문에 문제가 될 가능성은 없다”고 말했다.
(헤럴드 생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