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드라이브 스루' 깎아내리던 日...뒤늦게 채택

By Yonhap
Published : April 17, 2020 - 09:32


(연합뉴스)


일본 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환자를 가려내는 방법으로 '차량 탑승'(드라이브 스루) 검사를 공식 도입했다.

17일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일본 코로나19 대응 주무부처인 후생노동성은 한국이 도입해 세계적으로 확산시킨 이 방식의 검사를 할 수 있도록 추인하는 '사무연락' 문서를 전국의 지자체에 보냈다.

후생성은 이 문서에서 의사가 필요하다고 판단할 경우 차량에 탑승한 채로 진료할 수 있고, PCR(유전자증폭) 검사를 위한 검체 채취도 가능하다고 밝혔다.

한국에서 시작한 차량 탑승 검사는 대량의 검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데다가 의료기관 건물 안에서 검체를 채취할 때보다 감염 위험이 낮은 것으로 알려지면서 세계 각국으로 급속히 보급됐다.

그러나 일본 정부는 그간 야외에서 진행하는 이 방식의 검사 과정에서 검체가 오염될 우려가 있는 점과 이를 도입한 나라 중에서 감염 확산이 억제되지 않은 사례가 있다는 점을 들어 공식 도입에 소극적인 입장을 유지했다.

주무 부처인 후생성은 지난달 15일 공식 트위터에 "드라이브 스루 방식은 의사 진료를 동반하지 않은 경우가 많아 일본에서는 시행하지 않고 있다"며 이 검사 방법에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그러나 이 방식이 무증상 감염자를 찾아내 감염 확산을 막는 데 효과적이라는 평가를 받고, 일본 언론도 최근 한국의 사례를 앞다퉈 보도하면서 일본 정부의 태도에 변화가 감지됐다.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는 지난 7일 코로나19 확산에 대응하기 위한 긴급사태를 선포한 뒤 검사 능력을 확충하기 위해 드라이브 스루 검사를 활용하는 방안도 검토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이런 상황에서 아이치(愛知)현 나고야시, 니가타(新潟)현 니가타시, 돗토리(鳥取)현 등 지자체들이 잇따라 중앙정부의 정책과는 별도로 이 검사를 도입하겠다고 선언하자 후생성은 결국 공식 추인하는 쪽으로 방향을 잡았다.

일본의 코로나 19 확진자 수는 16일 1만명을 넘어서면서 긴급사태가 1차로 선포된 지난 7일 이후 9일 만에 2배로 급증했다.

신규 확진자의 대부분은 감염 경로가 파악되지 않고 있다.

이 때문에 일본 정부가 의료 체계 붕괴를 막는다는 이유로 소극적인 검사 정책에 집착하는 동안 무증상 감염자를 매개로 감염이 확산했을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아베 총리는 급기야 16일 도쿄도(都) 등 7개 도부현(都府縣·광역자치단체)에 국한했던 긴급사태 적용 지역을 전국으로 확대했다.

후생성이 검사 체제 확충 대책의 하나로 드라이브 스루 검사를 공식 인정하기로 뒤늦게 결정했지만 시기가 너무 늦었다는 지적과 함께 지자체에 모든 책임을 떠넘기는 식이라는 비판론이 제기되고 있다.

닛케이는 후생성이 지자체에 보낸 사무연락은 검사체제 확충 대책의 하나로 드라이브 스루 검사소 설치를 지자체에 전부 위임하는 내용뿐이라며 설치 여부에 관한 판단이나 인력 문제를 통째로 떠안게 된 지자체는 곤혹스럽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고 전했다.

세계보건기구(WHO) 사무총장의 선임고문을 맡고 있는 시부야 겐지(澁谷健司) 런던 킹스칼리지 교수는 닛케이 인터뷰에서 "도쿄 등지에서 검사대상을 넓혀 감염자를 격리하는 대책을 서둘러 추진했어야 했다"며 "드라이브 스루 검사를 승인한 타이밍이 너무 늦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닛케이는 중앙 정부의 방침 전환이 지자체 움직임을 뒤쫓는 모양새가 된 것과 '사무연락' 형식의 문서가 지자체에 요청하는 선에 그치는 점을 들어 검사 체제 확충의 리더십이 여전히 보이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닛케이는 이어 아베 총리가 최근 PCR 검사 능력을 하루 2만건으로 늘리겠다고 했지만 당장의 능력이 1만3천건에 머물고 있다고 거론하면서 후생성이 감염경로 추적에 치중해온 정책의 한계를 인정하고 검사망을 넓히는 쪽으로 정책 전환을 서둘러야 한다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MOST POPULAR

More articles by this writerBack to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