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연구팀이 태양보다 약 1만배 무거운 '중간질량 블랙홀'을 최초로 발견했다.
서울대는 이 대학 물리천문학부 우종학 교수 연구팀이 지구에서 1천4백만 광년 떨어진 왜소은하 NGC4395 중심에서 중간질량 블랙홀을 발견했다고 11일 밝혔다.
지금까지 학계에 보고된 블랙홀은 대부분 별이 죽어서 생긴 '소형'(별질량블랙홀)이거나 태양 수십만∼수십억 개의 질량에 맞먹는 '초대형'(거대질량블랙홀)이었다.
(서울대 제공)
학계에서 중간질량 블랙홀을 발견했다는 주장은 전에도 여러 차례 있었지만, 검증된 과학적 연구방법을 통해 중간질량 블랙홀을 확증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왜소은하 NGC4395 중심에 블랙홀이 있다는 사실은 전부터 알려져 있었다. 다만 이 블랙홀의 질량을 측정하려는 시도는 번번이 실패했다.
우 교수 연구팀은 블랙홀로 흡수되는 물질의 거대한 원반인 강착 원반에서 나오는 빛과 그 주변의 가스 구름에서 나오는 빛 사이에서 블랙홀 규모에 따라 시간차가 발생하는 '빛의 메아리 효과'를 이용해 질량을 측정했다.
연구팀은 2017년부터 2018년까지 전 세계 20여개 천문대를 활용해 빛의 메아리 효과를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분석해 이 같은 연구 결과를 냈다.
우 교수는 "중간질량 블랙홀의 존재를 확인한 이번 연구 결과는 거대질량 블랙홀과 별 블랙홀 사이의 잃어버린 고리를 이을 수 있는 의미심장한 발견"이라며 "우주 초기에 형성된 블랙홀 씨앗을 이해하기 위한 중요한 단서가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 같은 연구결과는 이날 국제학술지 '네이처 천문학(Nature Astronomy)' 온라인에 실린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