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 was expected, the country’s IT companies are feeling the impact of the government’s announcement that it will monitor cyberspace activities in real time.
[번역]
예상했듯, 한국의 IT기업들이 인터넷을 실시간으로 감시할 것이라는 정부 발표의 영향을 느끼고 있다.
[/번역]
On Sept. 18, the Supreme Prosecutor’s Office announced that it would establish a special team of five prosecutors and investigators within the Seoul Central District Prosecutor’s Office to monitor cyberspace in real time in order to act “preemptively” against the dissemination of false information. Redistributors of false information would be penalized to the same extent as the original disseminator, the Supreme Prosecutor’s Office said.
[번역]
9월 18일 대검찰청은 허위 사실 유포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검사 5명, 수사관들로 이뤄진 실시간 인터넷 감시 전담반을 서울중앙지검 내에 만들 것이라고 발표했다. 전달자들도 허위사실 최초 유포자와 같은 정도의 처벌을 받게 된다고 대검찰청은 말했다.
[/번역]
The measures -- hurriedly announced following the remark by President Park Geun-hye at a Cabinet meeting on Sept. 16 that insults against the president have gone too far and that remarks in cyberspace are causing social divisions -- smack of an attempt to muzzle public opinion.
[번역]
9월 16일 박근혜 대통령이 국무회의에서 대통령에 대한 모욕이 도를 넘었으며 인터넷에서의 발언들이 사회 분열을 조장하고 있다고 말하자 황급히 발표된 이 조치는 여론에 재갈을 물리려는 시도로 보인다.
[/번역]
Addressing public concerns that even SNS messages will be scrutinized, the prosecutor sought to clarify on Sept. 25 that private communications through SNS such as KakaoTalk and Line would not be monitored. Speaking to reporters, a prosecutor from the Seoul Central District Prosecutor’s Office said that actions will be taken in response to dissemination of false information on public cyberspaces such as portal sites, implying that community sites, bulletin boards and blogs that are part of Internet portals will be subjected to real-time scrutiny.
[번역]
9월 25일 검찰은 SNS까지 검열할 것이라는 우려에 대해 카카오톡, 라인 등 SNS를 통한 사적 대화는 감시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서울중앙지검의 한 검사는 기자들에게 포털 사이트 등 공적인 사이버공간에서의 허위사실 유포에 대한 조치라고 말하며, 포털의 일부인 커뮤니티, 게시판, 블로그가 실시간 감시의 대상이 될 것임을 시사했다.
[/번역]
Yet, the assurance that SNS will not be monitored has failed to allay the fears of netizens who are reported to be migrating to overseas SNS to avoid possible government snooping. Ironically, Telegram, a messenger service application said to have been developed by a Russian to avoid censorship there, is seeing a steep rise in the number of downloads from Korea. Other SNS apps with servers located overseas are also seeing a sudden increase in Korean subscribers.
[번역]
그러나 SNS는 감시하지 않을 것이라는 말도, 정부의 감시를 피하기 위해 해외 SNS로 이주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네티즌들의 우려를 덜어주지는 못하고 있다. 아이러니하게도 러시아의 검열을 피하기 위해 러시아인이 개발한 것으로 알려진 메신저 앱 텔레그램의 한국에서의 다운로드 수가 급증하고 있다. 서버가 해외에 있는 다른 SNS앱들도 한국인 가입자들이 급증하고 있다.
[/번역]
The exodus of netizens seeking cyber-refuge in foreign-based SNS has been prompted not only by practical concerns about privacy. The exodus is a form of protest against the measures, which are seen to be a restriction of freedom of expression. In the face of threats of government censorship, the public is engaging in self-censorship or seeking other venues in which to express themselves.
[번역]
해외 SNS에서 사이버 피난처를 찾는 네티즌들의 대이동은 사생활에 대한 실제 우려로만 촉발된 것이 아니다. 이러한 대이동은 표현의 자유를 제한하는 것으로 보이는 조치에 대한 항의의 한 형태다. 정부의 검열 위협에 직면한 대중은 자체검열을 하거나 자신을 표현할 다른 장소를 찾고 있다.
[/번역]
It is regrettable and worrisome that the IT sector is bearing the brunt of the government folly. Yet, the current mass migration should not come as a surprise to the government, which should have foreseen such an eventuality when it announced the de facto cybercensorship plan.
[번역]
IT업계가 정부의 어리석은 짓에 타격을 직통으로 받고 있는 것은 유감스럽고 우려스러운 일이다. 그러나 현재의 대이동은 사실상 인터넷 검열 계획을 발표했을 때, 이러한 사태를 예견했어야 할 정부가 놀라워할 일은 아니다.
[/번역]
Continued defection of Korean SNS users to foreign SNS threatens the very survival of Korean IT companies. The threat of cyberspace censorship will most likely hurt the global expansion of Korean SNS as well. At a more fundamental level, the threat of censorship will dampen not only the growth of Korea’s IT sector but also stifle the growth of the creative economy espoused by the current administration.
[번역]
계속되는 한국인 SNS 이용자들의 해외 SNS로의 이동은 한국 IT기업들의 생존을 위협하고 있다. 인터넷 검열의 위협은 한국 SNS의 글로벌 확장에도 필시 타격을 줄 것이다. 보다 근본적인 수준에서 검열의 위협은 한국 IT의 성장을 약화시킬 뿐만 아니라 현 정부가 지지하는 창조 경제의 성장도 억누를 것이다.
[/번역]
Already, Telegram, which currently does not support the Korean language, is working on providing a Korean service soon. The government should stop its folly before the damage to Korea’s IT sector becomes irreversible.
[번역]
현재 한국어를 지원하지 않는 텔레그램은 이미 한국어 서비스의 빠른 제공에 착수했다. 정부는 한국 IT에 대한 피해가 돌이킬 수 없게 되기 전에 어리석은 짓을 중단해야 한다. (코리아헤럴드 09월29일자 기사)
[/번역]